뉴스필드

노동·인권 전문지

2025년 6월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故 김충현 씨 사망사고 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고 있다.
사회·경제 주요 기사

태안화력발전소 故 김충현 씨 사망, 대책위 “위험의 외주화 막아야”…진상규명 촉구

2025년 6월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故 김충현 씨 사망사고 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고 있다.
2025년 6월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故 김충현 씨 사망사고 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고 있다.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안타깝게 사망한 비정규직 노동자 故 김충현 씨의 사망사고 대책위원회가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공식 기자회견을 열고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번 대책위는 김 씨의 억울한 죽음에 대한 진실을 밝히고, 책임 있는 자들의 처벌을 요구하며, 유사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할 방침이다.

대책위원회는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김용균재단 등 전국 100여 개에 달하는 노동·시민사회단체가 연대하여 결성됐다. 이들은 고인이 홀로 작업 중 변을 당한 지난 6월 2일 태안화력발전소 사고의 본질적인 원인을 파헤치고, 구조적인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사고는 태안화력발전소에서 김 씨가 혼자 작업을 하던 중 기계에 몸이 말려 들어가면서 발생했다. 안전 수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잇따르며, 비정규직 노동자의 열악한 노동 환경이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 비정규직에 위험 떠넘기는 현실 규탄

공동대표를 맡은 조현철 신부(비정규노동자의집 꿀잠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만이 유족과 고인의 죽음을 헛되이 하지 않는 길”이라고 역설했다. 그는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위험한 업무를 전가하는 현재의 노동 현실을 반드시 바꿔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는 사회 전체의 과제임을 분명히 했다.

민주노총 이미선 부위원장은 과거 김용균 씨 사망사고 이후 약속했던 안전대책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아 이번 사고가 발생했다는 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국가가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져야 하며, 이를 외면할 경우 국민적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다.

대책위원회 상황실장인 최진일 씨는 현장 실태 보고를 통해 충격적인 사실을 폭로했다. 하청 노동자들이 열악한 환경에서 부실한 장비조차 없이 위험한 작업을 강요당하고 있으며, 사고 발생 시에는 산재 은폐가 빈번하게 이루어진다고 덧붙였다.

■ 사고 당일 작업 지시 증거 공개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故 김충현 씨가 사고 당일 작업을 지시받았음을 보여주는 카카오톡 대화 내용 등 휴대폰 분석 자료가 공개되기도 했다. 이는 고인이 임의로 작업을 시작한 것이 아님을 시사하며, 사고 책임 소재에 대한 의문을 더욱 증폭시켰다.

엄길용 공공운수노조 위원장은 정부의 신속한 조치가 없을 경우 “대통령실 앞에서 무기한 투쟁에 돌입하고, 8월 발전 노동자 총파업에도 연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정부 당국이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즉각적인 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강력한 요구로 해석된다.

대책위는 서부발전과 한전KPS를 중대재해처벌법 및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로 고발할 예정이다. 또한, 노동부 천안지청의 조사가 유족과 대책위의 참여 없이 진행되고 있음을 비판하며, 이에 대한 규탄 투쟁도 예고해 향후 수사 과정에서의 마찰이 예상된다.

기자회견 후, 대책위원회는 대통령실 비서관과 향후 대책에 대한 면담을 진행하며 첫 공식 일정을 마무리했다. 이번 면담에서 어떤 논의가 오갔으며, 실제적인 변화로 이어질지는 계속해서 지켜볼 부분이다.

LEAVE A RESPONSE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