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필드

노동·인권 전문지

구의역 참사 8주기, 재발 방지를 위한 사회적 책임 강조

8년 전 서울 지하철 2호선 구의역에서 발생한 참사를 기억하며,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궤도협의회, 서울교통공사노조가 공동으로 20일 서울 광진구 구의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의역 참사 8주기 추모주간을 선포했다.

이들은 “위험의 외주화가 반복되고 있으며, 철도지하철 산업의 안전과 인력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가 안전인력 감축 계획을 밝히고, 인력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참가자들은 안전인력 충원과 안전예산 확보, 더불어 안전이동권 보장을 서울시와 정부, 서울교통공사에 강력히 요구했다.

공공운수노조 박정훈 노동안전보건위원장은 “구의역 산재사망 사고는 단순히 참사로 기억되어서는 안 되며, 이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구조조정 정책과 연관되어 있다”고 말하며, 현재의 안전 위협 상황을 오세훈 시장의 정책으로 규정지었다.

서울교통공사노조의 박현우 노동안전보건위원장은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의 전환은 이뤄졌지만, 실질적인 안전 개선은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현재의 안전 관리 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특히 “인력 감축과 외주화 구조조정이 안전에 역행한다”고 강조했다.

김미숙 김용균재단 대표는 중대재해처벌법의 엄격한 적용을 촉구하며, 기업들이 재발 방지보다 처벌을 피하는 데만 집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신수연 전국특성화고노조 경기지부장은 구의역 참사가 청년들의 일자리 현실을 드러내는 사건이었음을 상기시키며, 청소년 및 청년 노동자들의 안전을 강조했다.

권영국 변호사는 “안전을 위한 사회적 노력이 경영 효율과 비용 절감을 우선시하는 정책에 의해 원점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지적하며, 서울교통공사노조에 대한 무더기 해고 사태를 안전 업무의 외주화 추진과 연관지어 분석했다.

오는 25일 오후 2시, 구의역 9-4 승강장에서 열릴 예정인 8주기 추모제는 지난 2016년 5월 28일 발생한 구의역 참사를 기억하고, 사고의 재발 방지를 촉구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이날 행사는 당시 19살이었던 김아무개군이 스크린도어 수리 작업 중 전동차에 치여 목숨을 잃은 비극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며, 안전한 지하철을 향한 지속적인 노력을 호소할 예정이다.

원고료 응원하기

LEAVE A RESPONSE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