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필드

노동·인권 전문지

쿠팡, 조직적 리뷰 조작으로 시장 지배… 시민단체 “김범석 의장 등 경영진 책임 물어야”

쿠팡, 조직적 리뷰 조작으로 시장 지배… 시민단체 "김범석 의장 등 경영진 책임 물어야"
김범석 쿠팡 창업자 겸 이사회 의장. 김 의장은 한국계 미국인으로 전자상거래 플랫폼 쿠팡의 창업자이며 이사회 의장 겸 CEO 직책을 역임하고 있는 기업인이다. 사진 제공=쿠팡

공정위, 쿠팡에 과징금 1400억원… “임직원 후기로 소비자 속여”

온라인 쇼핑시장 1위 사업자 쿠팡이 자체브랜드(PB) 상품 등 자기 상품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 검색순위를 조작하고 임직원을 동원해 후기를 올리는 등 불공정거래 행위로 유통업계 역대 최대 규모인 140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쿠팡과 쿠팡의 자체브랜드 상품을 담당하는 자회사 씨피엘비(CPLB)를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고발했다.

공정위는 13일 쿠팡이 PB상품의 판매를 늘리기 위해 검색순위 알고리즘을 조작하고, 임직원을 동원해 구매후기 작성과 높은 별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부당한 고객 유인 행위를 저질렀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쿠팡에서 판매되는 21만 개 입점업체의 4억 개 이상의 중개상품보다 PB상품을 상위에 노출시켜 소비자들이 PB상품을 더 많이 선택하도록 유도했다는 것이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와 녹색소비자연대, 한국소비자연맹은 이날 공동 논평을 통해 “공정위의 이번 조사는 쿠팡의 자사우대와 소비자 기만 행위에 대한 당연한 결과”라며 “쿠팡은 알고리즘 조작이 업계 관행이라며 변명하지 말고, 피해업체와 소비자들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정부와 국회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온라인 플랫폼 독과점 규제와 공정한 거래를 위한 법 제정을 촉구했다.

쿠팡은 PB상품 리뷰 조작 혐의를 부인하며, “쿠팡 체험단을 통해 우수한 중소기업의 PB상품을 소개하고 있다”고 주장했지만, 공정위는 쿠팡의 임직원이 조직적으로 리뷰를 조작해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참여연대 등은 “이번 조사과정에서 쿠팡 측의 알고리즘 조작과 임직원을 동원한 조직적인 리뷰조작 행위가 단순히 회사 차원의 영업정책이 아니라 ‘쿠팡의 주요 직책자로 구성된 쿠팡의 운영위원회인 CLT(Coupang Leadership Team)에서 주도적으로 결정하고 관리한 사실이 드러난 것은 매우 충격적이다”며 “쿠팡은 즉각 CLT의 실체와 이번 사건의 주요 책임자, 임직원을 동원한 조직적인 리뷰조작이 기획되고 실행 관리된 경과, 이 과정에서 김범석 의장을 포함한 CLT의 역할 등을 명명백백히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아울러 공정위는 김범석 의장을 포함한 CLT의 책임이 확인된만큼 쿠팡(주)와 씨피엘비(주)에 대한 법인 고발에 더해 경영진과 행위자에 대한 고발조치도 이어가야 할 것이다”고 요구했다.

이어 “만약 공정위가 이번 사건을 두고 법인에게만 책임을 묻고 김범석 의장을 비롯한 경영진에게 면죄부를 부여한다면 소비자시민단체들은 중기부나 검찰이 공정위에 고발요청권을 행사하도록 촉구하는 활동을 계속해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을 통해 온라인 플랫폼 기업의 알고리즘 조작과 자사우대 행위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윤석열 정부는 온라인 플랫폼 독과점 규제법 제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원고료 응원하기

LEAVE A RESPONSE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