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화점면세점판매서비스노동조합이 4일 수요일 오전 11시 30분, 다국적기업 로레알TR의 화장품을 국내 면세점에서 유통하는 하청업체 (유)하이코스 앞에서 고용안정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진행했다.
이는 로레알TR이 지난 4월 14일 롯데 부산면세점에서 로레알 브랜드 전면 철수를 공지한 데 따른 것이다.
입생로랑, 아르마니, 비오템 등 로레알 브랜드를 판매하던 노동자들은 이번 결정으로 인해 대량 구조조정의 위기에 직면했다.
■ 로레알 브랜드 철수, 노동자들 고용 위기 직면
조합원들은 같은 지역 내 김해공항 면세점으로의 전보를 대안으로 강력히 요구했다.
그러나 하청업체인 하이코스는 김해공항 내 인원 T.O.가 없다는 설명만 되풀이하며 실질적인 고용대책을 제시하지 않았다.
대신 하이코스는 희망퇴직을 유도하거나 서울·인천 등 원거리 전보 발령을 강행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지난 5월 13일부터 전국의 면세점에서 백화점면세점판매서비스노조 조합원들은 로레알면세지부 조합원의 고용 안정을 요구하는 피켓 시위를 이어왔다.
또한 5월 22일부터는 하이코스 앞에서 1인 시위를 진행하며 사측의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고용 불안에 대한 노동자들의 절박한 심정을 반영하는 것이다.
■ 면세점 산업 위기 속 구조조정의 시험대
지난 1월, 부산 신세계 센텀점이 문을 닫는 과정에서도 노동자들에게는 지금과 유사하게 희생이 강요된 바 있다.
면세점 산업이 전반적인 위기 상황에 놓여 있는 현 시점에서, 로레알 브랜드 외 다른 브랜드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하이코스 소속 로레알 면세 판매서비스 노동자들의 현재 상황은 면세점 구조조정의 중요한 시험대가 될 수 있다.
이에 백화점면세점판매서비스노조는 이번 결의대회를 통해 하이코스의 책임 있는 자세와 고용 대책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로레알면세지부의 조합원들은 결의대회에서 절절한 발언을 쏟아냈다.
이들은 평생을 살아온 고장을 떠나 다른 곳으로 갈 수 없다는 점, 청춘을 다 바친 회사가 고용을 책임져야 한다는 점을 강한 목소리로 요구하며 깊은 고통을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