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필드

노동·인권 전문지

포스코, 사내하청 노동자 9차례 소송 패소에도 “불법 고용 강행”…정규직 전환 요구 격화

전국금속노동조합 포항지부와 포스코사내하청지회는 14일 포스코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포스코가 지속적으로 불법적인 사내하청 방식으로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다고 규탄하며 정규직 전환을 촉구했다.

9번의 소송에서 패소에도 불구하고 불법 고용 강행

특히, 금속노조는 포스코사내하청 노동자 2320명이 2011년부터 9차례에 걸쳐 근로자지위확인 소송을 제기해 모두 승소 판결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포스코는 여전히 불법적인 사내하청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포스코사내하청 노동자 2320명은 2011년 5월 31일부터 2024년 5월 14일까지 9차례에 걸쳐 근로자지위확인 소송을 제기했다. 지금까지 1차, 2차 소송에 참여한 59명은 정년도과자인 4명을 제외하고 전원이 대법에서 승소했고 3차, 4차 소송에 참여한 337명 중 223명은 고법까지 승소 후 대법 판결을 앞두고 있다. 그리고 지난 1월 18일에는 5차 소송에 참여한 338명 중 250명이 1심에서 승소했고, 6월 13일에는 6차 81명, 7차 155명이 1심에서 승소했다. 소송을 취하한 노동자와 정년도과자를 제외하면 소송에 참여한 모든 노동자가 법원 판결을 통해 정규직임을 확인한 것이다.

철강산업은 대표적인 ‘간접고용·사내하청’ 사용 업종이다. 포스코에는 정규직 노동자보다 더 많은 18000여명 이상의 ‘간접고용·사내하청’ 노동자가 일하고 있다.

금속노조는 “포스코와 도급계약을 맺은 사내하청업체의 노동자들은 더 힘들고, 더 열악하고, 더 위험한 업무를 해왔다. 제조업의 직접생산공정은 파견법상 파견이 불가능하지만 포스코는 이름만 도급으로 바꿔 사내하청 노동자들을 원청 설비에 배치해 직접 작업지시를 하며 일을 시켜왔다”며 “사내하청 노동자들의 임금·노동시간·휴게시간·휴일 등 근로조건은 모두 포스코가 결정해왔다. 원청의 작업지시 없이는 어떠한 작업도 할 수 없는 철강업종의 특성을 누구보다 잘 아는 포스코가 수익 극대화를 위해 불법 파견을 사용해온 것이다”고 밝혔다.

사내하청 노동자, 열악한 근로환경 속에서 차별

또한, 금속노조는 포스코사내하청 노동자들이 정규직 노동자보다 더 열악하고 위험한 업무를 훨씬 낮은 임금과 열악한 근로환경 속에서 수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포스코는 기존에 보장받고 있는 자녀학자금 지급을 단체협약, 취업규칙에서 삭제시킨 뒤 근로자지위확인 소송을 제기한 사내하청 노동자에게는 자녀학자금을 지급하지 않고, 소송 취하를 종용했다.

포스코는 소송에 참여한 사내하청 노동자에게 자녀학자금을 지급하라는 고용노동부, 국가인권위, 법원의 결정을 모두 무시했다. 2021년 12월 고용노동부 포항지청과 여수지청이 ‘자녀학자금 지급’ 시정지시를 결정했고, 2022년 11월에는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자녀장학금 차별지급’ 시정을 권고했지만 포스코는 모두 무시했다. 포스코는 고용노동부의 시정지시 결정을 무시해 내려진 대구지법 포항지원의 과태료 처분도 불응하며 항소했다.

금속노조, 포스코에 정규직 전환 및 근본적 해결 촉구

이에 금속노조는 포스코에 대해 사내하청 노동자들의 정규직 전환을 즉각적으로 진행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포스코 장인화 회장이 직접 사과하고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교섭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속노조는 포스코 불법파견 문제 해결을 위해 4월 30일, 5월 9일, 6월 10일 세차례 ‘진짜사장 원청대상 직접교섭’을 요청했다. 그리고 2023년 국회에서 통과되었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한 ‘노조법 2,3조’ 개정 투쟁도 전개하고 있다.

금속노조는 “하청노동자의 근로조건을 결정짓는 원청회사가 교섭 의무를 져야 한다는 것은 이미 사회적 정당성과 국민적 지지가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ILO(국제노동기구)에서도 수 차례 권고한 부분이다. 지금까지 판결로 공정과 업무, 자회사, 공급사로 불리는 2차 사내하청업체 구분없이 사내하청 노동자들은 모두 정규직임이 확인됐다. 불법파견은 피한다고 합법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금속노조는 포스코의 불법적인 사내하청 방식이 사회 양극화의 심화와 노동자 착취로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포스코가 천문학적인 영업 이익에도 불구하고 사내하청 노동자들을 차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금속노조는 포스코가 요구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시민단체, 진보정당, 민주노총과 함께 전 국민에게 알리는 더 큰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원고료 응원하기

LEAVE A RESPONSE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