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참사] 무안공항 설계 논란, 해외 전문가 ‘벽’ 결정적 참사 원인
제주항공 여객기가 무안국제공항에서 동체 착륙 후 공항 외벽에 충돌하며 폭발한 사고에 대해 해외 전문가는 공항 활주로 말단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존재를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
항공전문가 데이비드 리어마운트는 30일 영국 스카이뉴스에 출연해 이번 사고에 대해 언급하며 “콘크리트 벽이 결정적인 사고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를 “범죄 수준의 시설물”이라 칭하며, “조종사는 당시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착륙을 했다. 착륙 당시 비행기는 거의 손상되지 않았고 화재도 발생하지 않았다”면서 “이 위치에 콘크리트 벽이 있을 이유가 없다. 존재 자체가 중대한 과실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사고 여객기는 랜딩기어가 고장 나 동체 착륙을 시도했으나 활주로 끝에 위치한 콘크리트 구조물과 외벽에 부딪히면서 불이 붙었다. 착륙 직후에는 비교적 온전한 상태를 유지했지만, 속도를 줄이지 못한 채 충돌로 인해 참사로 이어졌다.
리어마운트는 “계기착륙시스템(ILS)의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활주로 끝에 설치되지만, 단단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돼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이런 설계는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잘못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만약 벽이 없었다면 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활주로 끝에는 평탄한 지형이 이어져 비행기가 속도를 줄이고 정지할 여유가 충분했을 것이다. 그런데 불과 200m도 안 되는 곳에 이런 단단한 물체가 있다는 건 처음 본다”고 밝혔다. 리어마운트는 오랜 경력을 가진 항공 전문가로, 영국 항공학계에서 다수의 상을 수상한 인물이다.
국내 항공 전문가 김인규 항공대 비행교육원 원장도 이번 사고와 관련해 활주로 끝의 설계 문제를 지적했다. 김 원장은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둔덕에 비행기 수평 방향 안내를 돕는 안테나인 로컬라이저를 설치해 놨는데, 보통은 평지에 있다”고 언급하며 “어느 공항에서도 이런 둔덕을 본 적은 없다”고 말했다.
로컬라이저는 안테나의 일종으로 계기착륙유도장치 중 하나다.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는 콘크리트와 흙으로 방호벽처럼 만든 2m 높이의 기초 구조물 위에 설치돼 있는데, 사고 여객기는 로컬라이저에 정면으로 부딪히며 폭팔했다.
그는 특히, “활주로 끝에 있는 둔덕이 없었다면 사고나 폭발이 덜 했을 수 있다”며 이번 참사에 구조적 결함이 큰 영향을 미쳤음을 강조했다.
김광일 신라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무안공항 활주로 끝단에 설치된 둔덕에 대해 설명하며, “항공기가 착륙할 때 진입 각도를 2.5도에서 3도 사이로 유지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로컬라이저가 활주로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해야 한다”며, “무안공항은 로컬라이저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 둔덕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그는 구조물의 설계 방식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단단한 구조물로 설치하지 않고 더 부드러운 구조물로 설계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예컨대, 공항마다 설치된 펜스는 항공기가 충돌해도 기체가 폭발할 정도의 충격을 주지 않는다”며, “사고 영상을 보면 활주로 끝단에서 비행기의 속도가 점차 줄어드는 모습이 보인다. 만약 구조물이 유연한 소재였다면 항공기가 일부 파손되더라도 지면을 지나면서 속도가 서서히 감소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김 교수는 “미국에서 훈련용 항공기를 사용해 학생들과 비행해본 경험이 많다”며, “외국 공항에서는 활주로 바깥에 이처럼 단단한 인공 구조물이 설치된 사례를 본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의 이같은 발언은 공항 설계와 시설 배치가 이번 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는 점을 뒷받침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예규 항공장애물 관리 세부 지침 제25조에 따르면, 로컬라이저 안테나 등 장애물이 될 수 있는 공항 장비는 항공기가 충돌 시 최소한의 손상만 입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평소에는 구조적 통합성과 견고성을 유지하면서도, 과도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항공기에 치명적 피해를 주지 않도록 파손·변형·구부러지는 방식으로 설치해야 한다는 의미다.
한편, 과거 유튜브 행정안전부 ‘안전한국훈련’ 채널에 게시된 한 영상이 이번 사고와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는 점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이 영상은 사고가 발생하기 약 1년 전인 2023년 12월 12일 업로드되었으며, ‘2023년 10월 26일 오후 3시경 무안공항에서 스카이항공 B737 123편이 착륙 도중 랜딩기어 고장으로 활주로 이탈 및 외벽 충돌, 화재 발생’이라는 가상 상황을 바탕으로 훈련을 진행한 내용을 담고 있다.
훈련 당시 사용된 비행기 기종인 보잉 737은 이번 사고 기종과 동일하며, 사고 상황 역시 훈련 영상 속 장면과 흡사하다는 점에서 누리꾼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외벽과의 충돌이라는 상황은 거리와 부딪힐 계산이 이미 있었다는 거 아니야” “예견된 참사였다”는 반응부터 “랜딩기어 문제와 외벽 충돌 상황까지 소름 끼칠 정도로 닮았다”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사고 여파로 무안공항 활주로는 내년 1월 1일 오전 5시까지 폐쇄되며,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현재 초동 수사를 진행 중이다. 국토부는 사고 원인 규명에 최소 6개월에서 최대 3년이 소요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