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필드

노동·인권 전문지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감전 사망 사고에 책임 회피 의혹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울교통공사노조는 17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하철역 전기실에서 발생한 감전사고로 인한 사망 사건에 대해 서울시와 사측의 책임을 묻고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했다.노조는 ‘진심 어린 사과와 재발 방지책 마련하라’ 요구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울교통공사노조는 17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하철역 전기실에서 발생한 감전사고로 인한 사망 사건에 대해 서울시와 사측의 책임을 묻고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했다.

지난 9일, 서울교통공사 연신내역 전기실에서 작업 중이던 노동자가 감전사고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노조는 이번 사고의 원인으로 2인 1조 작업수칙이 지켜지지 않은 작업환경을 지적하며, 상부의 지시에 따른 과도한 작업량으로 인해 안전수칙이 무시되었다고 주장했다.

중대재해가 발생한 지 일주일이 지났지만, 서울교통공사는 노조의 재발 방지 대책 요구에 대해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서울시와 공사에 대해 진심 어린 사과와 엄정한 사고 원인 규명, 재발 방지 대책 마련, 그리고 노동자를 산업재해로 내모는 대규모 인력 감축 및 구조조정 계획의 중단을 요구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한임임 서울교통공사 안전보건경영위원회 전문위원은 “이번 사고를 보면 급전 차단, 작업 감시자, 적절한 보호구 등 수많은 안전 수칙과 규제가 존재하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숙련된 작업자마저 사망사고를 당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진단했다.

중대재해 전문가넷 공동대표 권영국 변호사는 “이번 사고는 작업자의 부주의가 아니라 위험을 초래하는 작업 지시 및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며, “전기작업안전 내규에 따르면 위험 예상 작업 시 반드시 2인 이상 1조로 작업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2인 1조 근무를 불가능하게 하는 작업 계획으로 사실상 무용지물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태균 서울교통공사노조 위원장은 “비용 절감과 효율화를 위해 대규모 인력 감축으로 치닫는 구조조정을 당장 중단해야 한다”며, “노동안전부터 시민 안전까지 근본부터 되돌아보고 공사 경영 전반의 일대 쇄신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중대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했다.

원고료 응원하기

LEAVE A RESPONSE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