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창, 상장폐지 위기…벼랑 끝에 선 섬유 명가

한때 잘나가던 섬유기업에서 부동산 개발, 신재생에너지까지 사업 다각화 나섰지만…
자본잠식, 매출액 감소, 영업손실 등 악재 겹쳐 상장폐지 위기
해결책 찾기 위한 자구 노력과 경영 개선 절실
한창은 1967년 설립된 섬유기업으로, 한때 국내 섬유산업을 이끌었다. 1976년에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며 주식회사로 전환했다. 1980년대 후반에는 소화기 제조 및 판매 사업에 진출하며 사업 다각화를 시작했다. 2014년에는 부동산 개발 사업에 뛰어들었고, 2021년에는 철강 유통 사업에도 진출했다. 최근에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에도 관심을 가지며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다.
하지만 한창은 최근 몇 년간 자본잠식, 매출액 감소, 영업손실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24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32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7% 감소했고, 영업손실은 6억원, 당기순손실은 43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2024년 사업연도 말 기준 자본총계는 자본금의 -81.6%에 해당하며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이러한 어려움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먼저, 철강 유통 사업 부문의 부진이 컸다. 2021년 철강 유통 사업에 진출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건설 경기 침체와 중국산 철강재의 저가 공세로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부동산 개발 사업 부문에서도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2014년 부산 시청역 SK VIEW 주상복합 개발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지만, 이후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한창의 미래는?
한창은 현재 상장폐지 위기에 놓여 있다. 2023 사업연도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보고서상 감사의견 거절 사유로 상장폐지 기준에 해당되었지만, 2025년 4월 14일까지 개선기간이 부여된 상태다. 한창은 개선기간 내에 자본잠식을 해소하고 경영 실적을 개선해야 상장폐지를 면할 수 있다.
한창은 상장폐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자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먼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자본금 감소, 전환사채 발행, 자산 매각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수익성 개선을 위해 철강 유통 사업 부문의 경쟁력 강화와 부동산 개발 사업 부문의 신규 프로젝트 발굴에 힘쓰고 있다.
하지만 한창의 미래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자본잠식 해소와 경영 실적 개선이라는 과제를 해결해야 하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철강 유통 사업 부문의 부진이 지속되고 있어, 단기간 내에 실적 개선을 이루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한창이 상장폐지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을지, 아니면 위기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질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