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필드

노동·인권 전문지

삼성전자 연구직, 반도체특별법 반기 들었다…주 52시간제 예외 도입 반대

삼성전자 연구직, 반도체특별법 반기 들었다…주 52시간제 예외 도입 반대

삼성전자 연구개발직군 노동자들 대다수가 반도체특별법에 따른 주 52시간제 적용 예외 도입에 강하게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은 1월 26일부터 2월 2일까지 연구개발직군 조합원 904명을 대상으로 노동환경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814명(90%)이 주 52시간제 예외 적용에 반대 의사를 밝혔다고 3일 전했다.

설문에 참여한 조합원들은 주 52시간제 예외가 업무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641명,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156명으로, 대부분이 효율성 향상을 기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외 도입 시 예상되는 영향으로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저하(769명), ▲업무 스트레스 증가(697명), ▲노동 시간 증가(642명)를 꼽으며 우려를 표했다.

법정 근로시간을 초과해 일하기 위해 사용하는 삼성전자 사내 시스템인 ‘제외시간’ 문화도 여전히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1년간 제외시간을 입력한 경험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28%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 중 매달 제외시간을 입력하는 직원은 15명, 1년 중 간헐적으로 입력한 직원은 152명에 달했다.

서술형 답변에서는 연구개발직군 노동자들의 현실적인 고충과 비판이 쏟아졌다.

한 조합원은 “52시간 초과 근무로 혁신적인 연구를 이루겠다는 것은 연구 업무의 본질을 모르는 구시대적 발상”이라며, 충분한 휴식이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조합원은 “연구개발 직무는 업무 외 시간에도 긴장과 압박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며, 근무 시간 제약마저 사라진다면 심각한 건강권 침해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S.LSI 사업부 소속 A 조합원은 “업무량 소화가 안 되는 조직은 인력 자체가 부족한 것”이라며, 주 52시간제 예외 적용은 인력 충원 대신 기존 인력을 소모품처럼 사용하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 손우목 위원장은 “이번 2월 3일 민주당 주관의 반도체특별법 노동시간 적용 제외 정책 디베이트에서 반대 입장을 견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손 위원장은 “작년부터 쟁점이 되었던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노동자들과의 대화가 너무 늦게 시작된 점은 유감”이라며, “반도체특별법뿐만 아니라 노동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모든 법안에 대해 국회와 경영진은 주요 당사자인 노동자들과 지속적으로 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명분으로 추진되는 주 52시간제 예외 적용에 대해 연구개발직군 노동자들은 “우리는 소모품이 아니다”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와 현장의 목소리는 노동시간 단축과 워라밸 보장이 단순한 복지 차원을 넘어,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도 직결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LEAVE A RESPONSE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