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필드

노동·인권 전문지

응급실에 온 자살시도자, 사후관리로 위험도 낮춰

복지부·중앙자살예방센터,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결과 발표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다 응급실에 온 사람들에게 상담 등 사후관리를 실시한 결과 자살 위험도가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사후관리 접촉 횟수가 증가할수록 위험도는 더욱 낮아졌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자살예방센터는 4일 전국 42개 병원의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1만 2264명을 분석한 ‘2017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결과를 발표했다.

응답자 8567명 중 과거 자살을 시도한 비율이 35.2%(3016명)에 달했으며 나머지 64.8%(5551명)는 첫 번째 자살시도였다.

향후에도 자살 생각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1405명이 ‘있다’고 응답했다. 시기에 대해서는 ‘1주일 내’가 75.3%(1058명), ‘1주일∼1개월 내’ 12.5%(175명), ‘1~6개월 내’ 7.3%(102명), ‘6개월 이상’ 5%(70명) 등이었다.

자살시도자의 상당수는 음주 상태로 응답자 1만109명 가운데 53.5%가 술을 마셨다고 답했다. 자살을 충동적으로 시도했다는 사람은 응답자 9099명 중 88.9%(8088명)를 차지했고 계획적으로 시도했다는 사람은 11.1%(1011명)였다.

또 응답자 8175명 중 52.1%(4261명)가 자살을 시도하기 전이나 후에 어떤 방식으로든 도움을 요청했다고 응답했다.

자살시도의 동기는 정신건강 문제(31.0%), 대인관계(23.0%), 말다툼 등(14.1%), 경제적 문제(10.5%), 신체적 질병(7.5%) 순이었다.

자살시도자 총 1만 2264명 중 여성이 56.5%(6930명)로 남성보다 많았고 연령별로는 40대 19.6%(2409명), 20대 19.1%(2341명), 30대 17%(2090명) 순이었다.

또 자살시도자 3999명을 대상으로 사후관리서비스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자살위험도와 자살계획·시도에 대한 생각이 감소하고 알코올 사용, 스트레스, 식사, 수면, 우울감 등에서 상태가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대상자의 자살위험도를 상·중·하로 구분할 때,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사후관리서비스를 1회 받았을 때 ‘상’에 해당하는 그룹은 15.6%로 집계됐으나 사후관리를 4회 받은 후에는 ‘상’ 그룹 비율이 6.3%로 감소했다.

자살계획이 있다고 밝힌 사람은 1회 접촉 시 3%(119명)로 나타났지만 4회 접촉 시 1.3%(52명)로, 자살시도 생각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1회 접촉 시 1.6%(63명)이었으나 4회 접촉 시 0.6%(23명)로 각각 감소했다.

한창수 중앙자살예방센터장은 “이번 결과를 살펴보면 상당수의 자살시도자가 음주상태에서 충동적으로 자살을 시도하고 그들이 진심으로 바라는 것은 죽음이 아니라 도움의 손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후관리를 통해 지역사회와 연계한 적절한 치료 제공과 사회·경제적 지원으로 자살시도자의 자살 위험을 분명히 낮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은 지난 2013년부터 실시했으며 병원 응급실에 정신건강전문요원 등 2명의 전문인력을 배치해 자살 시도로 응급실을 내원한 사람에게 상담 및 사례관리 등 사후관리를 해주는 사업이다. 

복지부는 자살시도자에게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급실을 현재 42개에서 52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LEAVE A RESPONSE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