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청년고용 활성화 방안’…디지털 일자리 사업 5만명→11만명으로 확대
정부가 지난해 수립한 ‘청년정책 기본계획’ 등에 포함된 기존 정책에 1조 5000억원, 24만 6000명(+α)을 추가로 지원해 올해 총 5조 9000억원으로 104만명(+α)의 청년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추진한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3일 이 같은 내용의 청년고용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며 “청년들에게 더 많은 일자리와 더 많은 능력개발기회를 제공하고, 청년에게 필요한 맞춤형 고용지원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지속가능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 더 많은 일자리 제공
이 장관은 “민간 기업이 보다 많은 청년을 채용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인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청년고용 활성화 대책을 설명했다.
기업이 콘텐츠 기획과 빅데이터 등 디지털 직무에 청년을 보다 적극적으로 채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일자리 사업’ 인원을 5만명에서 11만명으로 대폭 확대한다.
또한 중소기업의 청년 신규채용을 유도하기 위해 ‘특별고용촉진장려금’ 전체 5만명 중 2만명을 청년층에 우선 지원하고, ‘고용증대세제(~2021년)’ 및 ‘청년고용 친화형 R&D 3종 패키지(2018~2022년)’의 적용기간 연장도 적극 검토한다.
아울러 청년 고용 소상공인 1만 6000명에게 청년고용특별자금을 지원하고, 청년 고용유지시 금리를 우대 지원한다.
디지털·비대면, 바이오, 문화·체육·관광 등 새로운 분야에는 전문인력 1만 8000명이 채용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비대면 분야 유망 창업기업 발굴 및 지원을 기존 300억원에서 900억원으로 대폭 확대하고, 구글플레이 등 글로벌 기업과 협업해 청년 창업기업의 해외시장 진입도 지원해 청년 창업 지원을 넓혀간다.
청년 스타트업이 경영안정을 이루고 도약할 수 있도록 성장단계별 지원을 강화하고, 시스템 반도체와 환경 등 분야별 창업도 촉진할 계획이다.
한편 이 장관은 “민간의 일자리 창출여력이 낮을 수밖에 없는 상황임을 감안해 공공부문이 일자리 창출에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의 청년고용의무제를 2021년에서 2023년까지 연장하기 위해 ‘청년고용촉진 특별법’을 개정하고, 공공분야 체험형 일자리 2만 2000명 중 4200명을 1분기 내 신속 채용하며 디지털·그린, 생활방역·안전 일자리 등의 분야에서도 청년 직접 일자리 2만 8000개를 만든다.
◆ 직업훈련 강화
청년들이 코로나19 위기를 능력개발로 극복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을 강화하고, 청년들이 미래산업에 필요한 인력으로 성장해 취업할 수 있도록 인재양성에도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인다.
이와 관련해 디지털·신기술 분야 스타트업 기업이 직접 설계하는 맞춤형 디지털 훈련을 신설하고, 그린뉴딜을 이끌어갈 저탄소·그린 분야 등의 기업이 참여하는 맞춤형 훈련도 실시한다.
아울러 직업훈련에 참여한 청년들에게 디지털 초·중급, 인문소양 교육 등을 지원하는 K-Digital Credit도 4만명에서 8만명으로 대폭 확대한다.
한편 이 장관은 “청년들이 필요로 하고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직업훈련 기회를 확충해 취업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돕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항공·관광 업계 종사 청년과 관련 학과 졸업(예정)자 등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맞춤형 훈련’을 제공하고, 청년이 선호하는 훈련과정을 누구나 수강할 수 있도록 100% 비대면 방식의 실업자 훈련을 도입한다.
또한 청년들의 호응이 높은 삼성 소프트웨어 아카데미 등 우수한 기업주도 훈련이 보다 확산될 수 있도록 기업들과 MOU를 체결하고 컨퍼런스 개최 등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 일자리 찾기 관련 인프라 강화
이 장관은 “취업준비 중인 청년들이 필요한 정보와 서비스를 지원받아 보다 쉽게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를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전국 108개 대학일자리센터의 기능을 확대·개편해 지원대상을 재학생에서 졸업생까지 확대하고, 일자리 발굴·매칭 기능도 강화해 인문계 전공자 등에 대한 취업지원을 확대한다.
또한 온라인 청년센터가 청년들의 정보플랫폼이 되도록 취업정보와 심층상담 등을 통합해 상시적으로 제공하고, 민간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찾아가는 취업상담’도 강화해 나간다.
특히 수시·경력직 채용 확대 등 기업의 신규인력 채용동향을 조사해 청년들에게 제공하고, 성장유망 분야 벤처·스타트업 기업과 청년 간 매칭 강화를 위해 벤처·스타트업이 참여하는 채용설명회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 맞춤형 고용지원 확충
이 장관은 “구직에 애로가 있는 청년에게 필요한 맞춤형 고용지원을 확충하겠다”며 “소득·일경험·취업의 기회가 부족한 청년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체계적으로 제공해 청년들이 피부로 느끼는 어려움을 해소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민취업지원제도·청년특례를 5만명 확대해 구직활동에서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취업 가능성을 높이며, 국민취업지원제도 일경험 프로그램도 청년층에 1만명 확대해 청년의 취업역량을 강화한다.
더불어 노동시장 밖 청년들에 대한 지원의 사각지대도 해소해 적극적으로 노동시장에 참여하도록 하는데, 우선 청년 비경제활동 인구 증가에 대처할 수 있도록 ‘청년 도전 지원사업’을 신설한다.
또한 지자체 청년센터를 주축으로 구직단념청년을 발굴하고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해 국민취업지원제도와 연계한 종합 고용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직이 장기화되거나 경제활동을 포기하기 전에 청년들에게는 고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부의 학교 졸업생 정보를 연계·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할 방침이다.
지자체와 학교, 지역기업, 청년 유관기관이 협업해 고졸 청년의 취업이 활성화되도록 지역 맞춤형 훈련 및 취업서비스를 제공하고, 올 상반기 중에 교육부와 관계부처가 고졸 취업 활성화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 장관은 “일자리 창출의 기본은 투자, 혁신, 성장인 만큼 ‘한국판 뉴딜’ 등을 통한 빠르고 강한 경제회복 및 일자리 창출을 추진하고, 규제발굴 및 완화도 지속해 일자리 창출의 동력을 강화하겠다”면서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고용위기 대응반을 통해 추진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청년이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통해 청년들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듣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