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음악가연맹, ‘문화한국 2035’ 예술단체 지방 이전에 공식 우려… 정부에 전면 재검토 촉구

■ “국립예술단체 지방 이전, 예술현장과 협의 없는 일방적 추진”
■ “지역 균형 발전 위해선 기존 단체 이전보다 지방 문화역량 강화가 우선”
■ 공공운수노조 “국제사회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대화에 나서라”
국제음악가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Musicians, IFM)이 한국 정부의 ‘문화한국 2035’ 정책 중 국립예술단체 지방 이전 계획에 대해 공식 우려를 표명했다. IFM은 지난 4월 15일 문화체육관광부에 공식 서한을 보내, 해당 정책의 전면 재검토와 실질적인 사회적 협의를 촉구했다.
IFM은 이번 서한에서 “국립오페라단, 국립발레단, 국립합창단, 국립현대무용단,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서울예술단 등 예술계 핵심 기관들을 지방으로 이전하려는 정책이 예술계 현장 및 노동조합 등 이해당사자와의 충분한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는 국제노동기구(ILO), 유네스코(UNESCO) 등과 협력하고 있는 60개국 연맹 소속 단체들의 의견을 대변하는 공식 입장이다.
■ “이전 아닌 지방 역량 강화가 핵심”
IFM은 “지역 간 문화격차 해소라는 목표는 공감하지만, 기존 국립예술단체의 물리적 이전만이 해답은 아니다”라며, “오히려 지역 문화기관에 대한 지속적인 재정지원과 지방정부의 지원 역량 강화를 통해 질 높은 문화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IFM은 국립극장 등 주요 공공예술기관의 역할 확대와 제도적 뒷받침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지적은 지난 3월 25일 토마스 데이얀 IFM 사무부총장이 방한해 공공운수노조 문화예술협의회와 간담회를 가진 이후 공식화된 것이다.
■ “국제사회 경고에 귀 기울여야”
실제로 앞서 2월 25일에는 국립예술단체 5곳 중 4곳의 단체장이 공식적으로 지방 이전에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으며, 3월 5일에는 공공운수노조 문화예술협의회와 문화연대가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같은 우려를 공유했다.
공공운수노조는 “이번 IFM의 공식 서한은 정부 정책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경고”라며 “정부는 예술단체 구성원은 물론 지역 문화계와의 실질적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 “예술정책, 일방적 추진 아닌 상생적 협의로”
IFM의 베노아 마슈엘 사무총장은 공식 서한에서 “정부는 ‘문화한국 2035’ 계획의 일방적 추진을 즉각 중단하고, 예술계 전체와의 철저한 협의를 통해 각 단체의 특성과 지역의 상황을 반영한 균형 있는 정책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요청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역균형발전을 명분으로 추진 중인 국립예술단체 지방 이전 계획은 앞으로 국제 사회와 국내 예술계의 압박 속에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